티스토리 뷰
하드코딩의 정석..은 무슨 아이디어 생각 안나면 맨날 이렇게 푸는거 같다. 훨씬 간단하고 짧게 풀 수 있는 방법은 항상 있으나, 왜인지 문제에서 제시하는 방향 그대로 따라가다보면 답이 나올거라 생각하고 구현하는 병에 걸린 것 같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import copy
info_next = list(map(str, input().rstrip())) # 55-50+40
info = copy.deepcopy(info_next) # 얕은 복사로 인한 데이터 변환을 막기 위함
idx = 0 # idx를 증가시키며 순회
# 먼저 괄호가 들어가야할 위치를 생각해보면 음수 부호 뒤에 여는 괄호가 들어가고
# 다음 (-) 연산자가 나온다면 닫기 or 문자열이 끝났을 경우 임을 그리디하게 생각
while True:
if info[idx] =='-': # (-) 연산자 찾기
info.insert(idx+1,'(') # 찾았을 경우 괄호 열기
for j in range(idx+1, len(info)): # 이후 (-) 연산자가 있는지 탐색
if info[j] == '-': # 있다면 그 전에 괄호를 닫아줌
info.insert(j,')')
break # 이후를 탐색할 필요 없으므로 break
if info[-1] != ')': # (-) 연산자가 발견되고 다음 (-)가 없을경우
info.append(')') # 연산식의 마지막에 괄호를 닫아줘야함
idx += 1 # 다음 인덱스 탐색
judge = len(info) # 반복문 종료조건으로 특이하게 넣어주는데
if idx == judge: # 이유는 insert를 사용해 info배열 길이가 바뀌기 때문
break
print(info) # ['5', '5', '-', '(', '5', '0', '+', '4', '0', ')']
# 다음 과정은 떨어져있는 정수를 합치는 과정 (연산 전 처리 과정)
# 숫자가 나온다면 num에 합쳐주고 이후 연산자가 나오게 된다면 lst에 숫자를 담고
# 연산자를 그뒤에 넣어준다.
lst = []
num = ''
for i in info:
if i.isdigit():
num += i
elif i == '+':
lst.append(num)
num = ''
lst.append('+')
elif i == '-':
if num:
lst.append(num)
num = ''
lst.append('-')
elif i == '(':
lst.append('(')
elif i == ')':
lst.append(num)
num = ''
lst.append(')')
if num: # 마지막 숫자 처리
lst.append(num)
print(lst) # ['55', '-', '(', '50', '+', '40', ')']
# 이제 괄호 안의 연산을 먼저 진행해준다.
stack = [] # 계산 후 담길 리스트
stack_wait = [] # 계산 전 앞의 피연산자가 담겨있을 위치
judge = False # 연산 스위치 on/off 버튼 괄호가 온다면 연산을 시작할 것
for i in lst:
if i == '(' and judge == False: # 여는 괄호가 나오고 judge가 False면 스위치 on
judge = True
elif judge == False: # 괄호가 아닌 것은 현재 연산 대상자가 아니기때문에 바로 stack에 담기
stack.append(i)
elif judge == True and i != ')': # 스위치 on 상태에서 여는 괄호가 아닌 것은 계산 전 위치에 넣어서 대기
stack_wait.append(i)
elif i == ')': # 닫는 괄호가 나온다면
judge = False # 스위치를 꺼주고
stack_num = [] # 계산된 값 리스트
stack_num_wait = [] # 괄호 안 연산이 여러개 일 수 있으므로 대기 리스트
for j in stack_wait: # 대기중인 스택 리스트 탐색
if j.isdigit() and not stack_num_wait: # 정수가 나오고 wait 리스트가 비어있다면
stack_num.append(j) # 담아준다
elif j == '+': # (+) 연산자가 나온다면
stack_num_wait.append(j) # 역시 wait 리스트에 담아준다
elif j.isdigit() and stack_num_wait: # 정수가 나오고 wait 리스트에 대기자가 있다면
stack_num_wait.pop() # 연산을 실행
stack_num.append(str(int(stack_num.pop())+int(j))) # 문자열이기 때문에 정수로 바꿔 연산
stack.append(stack_num.pop()) # 모두 돌았을 때 최종 결과를 stack 리스트에 담아준다
print(stack) # ['55', '-', '90']
# 이제 마지막 단계로 괄호 없는 연산들을 계산해주면 됨. 작동방식은 위와 동일
result = []
result_wait = []
for i in stack:
if i.isdigit() and not result_wait:
result.append(i)
elif i == '+' or i == '-':
result_wait.append(i)
elif i.isdigit() and result_wait:
if result_wait[0] == '+':
result_wait.pop()
result.append(int(result.pop())+int(i))
elif result_wait[0] == '-':
result_wait.pop()
result.append(int(result.pop())-int(i))
print(*result) # -35 출력
사실 위의 코드는 다듬을 부분이 굉장히 많다. 애초에 다시 풀었을때는 15줄로 끝냈다. 위 코드의 연산 일부를 간단하게 바꿀 수 있는데, input을 받을때 ' - ' 연산자를 기준으로 split 해주면 내 코드의 초기 분할과정과 재 결합을 할 이유가 없어진다. 또한 split으로 분할된 부분이 자동으로 괄호가 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내 코드에서 마지막 부분 연산만 할 수 있다.
modify = input().split('-')
lst = []
print(modify) # ['55', '50+40']
for i in modify:
cnt = 0
arr = i.split('+')
for j in arr:
cnt += int(j)
lst.append(cnt)
N = lst[0] # 55
for i in range(1, len(lst)):
N -= lst[i]
print(N) # -35
' - ' 연산자를 기준으로 나누고 순회 하면서 내부에 ' + ' 연산자가 있다면 계산 하고 마지막에 분할되어있는 요소들을 첫 정수에서(첫 정수는 무조건 0 이상 정수)이므로 빼주기만 하면 된다.
굉장히 간단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도 낭만 있었다. 한잔해!
728x90
'일상코딩 > 백준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 9663번 N-Queen (1) | 2024.03.10 |
---|---|
백준 2477번 : 참외밭 (도움 안됨 주의) (0) | 2024.03.04 |
백준 10798번 : 세로읽기 (1) | 2024.02.06 |
백준 10816번 : 숫자카드 2 (0) | 2024.02.03 |
백준 2559번 : 수열 (0) | 2024.01.28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카운팅정렬
- SQL
- baby-gin
- views.py
- basic syntax
- HTML
- vue
- 연산자
- ChatGPT
- Method
- Component
- refactoring
- Django
- Sequence types
- Database
- 삼성청년SW아카데미
- Authentication System
- 재귀
- ssafy
- dfs
- Python
- 백준
- app
- vue3
- 순열
- honeymoney
- CodeTree
- JavaScript
- SQLite
- 함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