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Functions) 1회용이 아닌 어떠한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재사용 가능한 코드 묶음이다. 함수를 정의하고 사용하면서 다른 코드와 중복과 겹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 코드를 만들어 두기만 하면 재사용을 할 수 있고, 코드의 가독성과 추후 코드 유지보수하기에 유리함 내장 함수(Built-in function) 말 그대로 파이썬 안에 내장된 기본 옵션을 뜻하며 파이썬이 제공하는 기본 함수라고 생각하면 된다. 반대의 의미를 외장함수로 쓰는 원문도 있으나, 정확히 정의된 바가 없기 때문에 반대의 의미는 일반 함수이다. 특징으로는 별도의 import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하며 예시로는 가장 많이 쓰는 print()가 있다. 실제로는 print() 함수 안에 많은 코드가 숨어있겠지만, 간단하게 입력하여 ..

데이터 타입의 마지막 시간이다. 여기까지 왔다면, 파이썬의 기본은 알게 된 것이다. 물론~ 진짜 시작은 지금부터겠지만, 여기까지 온 것으로도 대단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Boolean (불린형) : 사실 첫인상은 별로였다. 글자도 발음도 애매하게 생긴것이 불린형이라는 한글발음 자체가 반갑진 않다. 논리 데이터로 '참(True)'과 '거짓(False)'을 표현하는 데이터이다. 출력 값은 True 와 False를 갖는다. 주로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논리 연산을 할 때 사용된다. 숫자 데이터의 연산자처럼 boolean도 비교 연산자가 있는데, 수학에서 흔히 보던 '같다'를 의미하는 등호, '비교'하는 부등호와 동일한 개념을 갖는다. 주로 조건문에 사용하여 해당하는 조건의 값을 비교할 때 자주 쓰이며, 특히 whi..

기본적인 내용이 다 끝나간다. 조금만 더 힘내면 당신은 기초는 끝나가는 것이다!! dictionary(딕셔너리) : 키 - 값(key-value) 쌍으로 이루어진 자료형이며 간단하게 비유하자면 key는 상자를 열기위한 도구이며 value는 상자가 열렸을 때의 결과물이라고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또한 딕셔너리는 보기에는 순서가 있어보이지만 순서, 정렬이 되어있지 않은 Non-sequence 임에 명심하자. 이때, 조건이 있다. key는 변경 불가한 데이터(immutable)만 가능하다. (문자열[str], 숫자 데이터[int, float], boolean, tuple, range 등) value는 어떠한 형태여도 상관 없다. key 를 dictionary에 넣으면 valuse 값이 튀어나온다. 그러한 k..

이전 글에서 Sequence Types 중 특징과 Text Sequence Type만 자세하게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list, tuple, range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List(리스트) : 여러 개의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변경 가능한 시퀸스 자료형. 색깔이 들어간 '순서'와 '변경 가능'에 대한 특성을 알고 있어야하는 이유는 이에 따라 사용 가능한 도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저번 시간에는 '정렬'에 대한 설명도 했는데 정렬은 필터처럼 규칙을 가진다고 보면 된다. list는 정렬에 해당되진 않는다. 그 이유는 list에 데이터가 들어오는 '순서'에 맞추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리스트의 생성과 접근방향 : 대괄호 [ ] 혹은 list( )을 통해 생성이 가능 내부에 어떠한 자료형(숫자, 문자, 리스..

저번시간까지 a b c 에 대해 배웠다면 이젠 조합을 해봐야하지 않겠는가? 다만 A B C와 a b c 는 다르니 그와 비슷한 Data Type에 대해 먼저 공부를 해야 한다. 보통 apple 혹은 EGG 한개의 표현 방식으로 통일하니까 말이다. cAKe라고 쓰는 사람은 본 적 없지 않는가? 코딩에서도 예시를 들자면, 3 - 1 = 2로 가능하지만 Hello - 1 은 불가하다. Data Types : 값의 종류와 그 값에 적용 가능한 연산과 동작을 결정하는 속성 값들을 구분하고, 어떻게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정확히 알 수 있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적합한 도구를 이용해 요리할 수 있다.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해당 코드를 확인하는 사람에게 변수의 의도를 더 확실하게 전달하고 오류를 예방한다. 데이터 타..

앞서 Python 에서 기본적으로 쓰이는 친구들의 타입들에 대해 알아 봤는데, 첫번째로는 데이터를 의미하는 '값' 에 대해 알아봤고, 그 값들을 조작하고 계산하는 '연산자' . 그리고 그 값들의 연산을 참조 및 참고하게 하는 '변수' 를 공부했다. 오늘은 위의 친구들의 무대를 본다고 하면 될 것 같다. 할당 일반적으론 weight 는 73.8 이다. 라고 볼 수 있지만, 개발자들에겐 다르게 보인다고 저번 글에 설명한 적이 있다. 등호 한개는 '할당' 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우측의 73.8이라는 값을 weight라는 변수에 할당한다.' 가 맞는 표현이다. 말 그대로 할당을 하고 있는 문장을 의미하므로 할당문이라고 할 수 있다. 별거아니야? 라고 생각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말로 풀어놓은 해설을 알아두..

프로그래밍이란 ? 사전적 의미로 '일의 순서가 정해져 있고 그 흐름대로 일을 진행하는 것' 이다. 하지만 우린 개발자니 표현을 SoftWare의 관점으로 바꾸어 표현하면 '어떠한 언어로 짜여진 명령어들을 순서대로 진행하는것' 이다. 예를들어 나는 파이썬을 배우고 있으니 파이썬으로 코드를 짜서 해당하는 명령어들을 진행하라고 시키는 것이며, 이 행동 모두가 프로그래'밍'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그램(program)은 명령어들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다. 프로그래밍의 핵심 새 연산을 정의하고 조합해서 개발자들이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위의 예시를 가져오면, 회식 장소까지 가는 곳을 어떤 사람은 좌 / 우 / 직진만 적어서 끝낼 수 있고, 꼼꼼한 사람은 정확한 거리 수치까지 넣을 수 ..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먼저 버전 관리란 다들 경험해 본적 있을 것이다. 특히나 원래 전공이 건축공학과인데, 과제하면서 3D Revit 파일을 다루다 보면 용량이 적게 50Mb, 높게는 300Mb 까지 본 적 있다.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이 아니라 이미지와 랜더링된 객체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용량이 기본적으로 높은 편인데, Develop을 하다보면 파일이 깨지는 경우가 간혹 있거나 Ctrl + Z가 먹히지 않아 뒤로가기가 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사이사이에 업데이트된 요소를 갱신하기 위해 꾸준히 저장을 눌러주는 것과 동일하다. 다행히 자동으로 날짜 + 저장시간을 저장이름에 넣음으로서 내가 언제까지 하던 파일인지 롤백하기 쉽다. 다만 제목을 최종 / 최최종 / 최최최종 / 이제그만 최종 ..

Command Line Interface 직역 : 명령어(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시각화 측면에서는 알아보기 어렵지만 간단한 명령어로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초 대량 데이터 처리 용이 Graphic User Interface 직역 : 그래픽을 통해 사용자와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 일반 사용자가 이용 및 이해하기 쉬운 방식이며 시각화가 잘 되어있음 대량의 데이터를 옮길 때 그만큼 과부하가 오기 때문에 업로드 속도에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있음 오늘 다뤄볼 주제는 'CLI' 이다. 앞서 대량의 데이터를 옮길 때 GUI는 과부하가 오는데,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사진 파일 40Mb 짜리 1000장 정도 옮길 때 드래그를 한다면 잠깐 멈칫 할 때가 있다. (비싼 컴인데 ..

오늘은 마크다운에 대해 알게되어 간단하게나마 적어보려고한다. Tistory에서는 마크다운언어가 잘 표현되지 않지만(구글링하니 html, css 스킨 적용 및 마크다운 언어 작성 후 html 모드로 변경 한 후 일부 편집 과정을 가지면 표현 가능) 꼭 쓸 줄 알아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마크다운(Notion, Mattermost, GitHub)에서도 다양하게 쓰인다. 나는 옛날엔 VSCode도 코딩인가? 싶었는데, 아차차~ 저는 html 코딩해요~ 랑 비슷한 말이라고 하더라. 정확히는 코드 편집기 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파이썬으로는 크게 와닿지 않았는데,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거의 없기때문에 마크다운 같은 결과물을 보면서 하는 방법으로 효과적인 시간을 아낄 수 있다. 제목 및 리스트 # 제목..
- Total
- Today
- Yesterday
- ssafy
- 연산자
- 카운팅정렬
- 백준
- vue
- refactoring
- Django
- Authentication System
- ChatGPT
- vue3
- 순열
- 재귀
- Database
- SQLite
- JavaScript
- basic syntax
- app
- baby-gin
- honeymoney
- Sequence types
- views.py
- CodeTree
- 함수
- Method
- Python
- SQL
- Component
- HTML
- 삼성청년SW아카데미
- dfs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