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답은 항상 위에 와야죠~ 사실 전치는 안하고 바로 세로 읽기로 가도 됩니다. (이때는 세로 출력을 어려워해서 항상 전치 했음) # 5줄에 걸쳐 최대 15글자의 문자열을 받는 리스트를 리스트컨프리헨션을 통해 선언 arr = [list(input()) for _ in range(5)] len_lst = [] #가장 긴 문자열을 탐색하기 위해 빈 리스트 선언 for i in range(5): # 5개의 행을 탐색 len_lst.append(len(arr[i])) # 행의 길이를 빈 리스트에 넣어준뒤 max_len = max(len_lst) # max함수를 통해 최대 길이를 확인 # 가장 길이가 긴 행에 모자라는 빈 데이터를 채워주기 위해 비어있는 공백 문자열을 삽입한다 for i in range(5): if ..

카운팅 정렬에 대해 배웠다 생각하고 가볍게 생각하고 들어갔다가 한시간 헤매고 온 문제이다.. 정확히는 카운팅 정렬은 할 줄 알지만 내 머릿속에 생각나는 대로만 구현하려고 하다보면 항상 시간 복잡도를 넘고는 한다. 여유가 된다면 시간 복잡도에 대한 간단한 정리를 해서 문제 푸는데 헛 시간을 보내지 않는 연습을 해야할 것 같다. 제출 코드 - 메모리 : 365172KB, 시간 608ms, 시간복잡도 : O(n + m)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arr_N = list(map(int, input().split())) M = int(input()) arr_M = list(map(int, input().split())) arr = [0] * ..

배열을 배우면서 느꼈지만, 문제들이 노가다와 창의력을 요하는 문제들이 나오곤 한다. 일일이 다 확인해서 코드를 짤 수도 있고, 신박한 방법으로 짧게 코드를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직 직감이 와서 문제를 푸는 단계는 아니기 때문에 최대한 정석으로 풀곤하는데, 정석으로 풀면서도 시뮬레이션하며 경우의 수를 따질 때가 많았다. 그러면 어떻게 문제에 접근하는지 알아보자. 잠깐. 아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에 대한 문제를 먼저 설명하고 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Baby-gin Game 원래는 일반 트럼프 카드로 게임을 진행하는데, 쉬운 알고리즘 문제로 바꾸자면 중복이 가능한 0부터 9까지의 숫자 카드 중 임의의 6장의 패를 가지고 있을 때, 숫자가 연속된 3개(run)거나, 같은 숫자 3개(triple)..

드디어 걱정하든 단원까지 오게 되었다.. 이 단원부터 알고리즘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물론 아직 쉬운 단계일지 몰라도 이를 알면서 좀 더 실생활적인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1차원 배열을 위주로 살펴보려고 한다. 여기서 한단계 바로앞에 이차원 배열이 나오게 될텐데, 큰 기점이 될 기준이라고 생각한다. (이미 2차원 배열을 배우고 있으면서 너무 힘들었기 때문..) 그래도 힘내서 해보자. 배열 : 일정한 자료형의 변수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재할당하여 사용하는 자료데이터 : 일일이 다른 변수명을 이용해 자료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 아래의 그림처럼 여러 변수를 배열을 통해 통합한다음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1차원 배열 1차원 배열의 선언 : 별도의 선언 방법을 필요로 ..

시간이 없는 분들을 위해 최종 제출물을 먼저 보여주고 이후에 얘기를 풀겠다. 내가 블로그 하면서 항상 답답했던거는 내가 원하는 정보를 꼭 찾아가야한다는것..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분들은 답답함이 없었으면 좋겠다. # 리스트 갯수 N과 연속적인 날자 수 K 할당 N, K = map(int, input().split()) # 두번째 input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나눈 list 할당 tem_lst = list(map(int, input().split())) first_num = 0 # 데이터를 비교하기 위한 첫 K까지의 합을 할당하기 위한 초기 설정 for i in range(K): #index기준으로 0부터 K-1 까지 계산. first_num += tem_lst[i] #i가 k-1까지 돈 list의 데이터들..

오늘 다룰 아이들은 작은 친구들이다. 큰 함수 단원에 속한 아이들이며 반드시 알아야 할 함수이니 천천히 배워보 재귀함수 유용한 내장 함수 어렸을때부터 재귀는 무서워했던 단어였다. 수학에서도 점화식 풀면서 싫어했고, 영어에서도 재귀대명사가 있을 정도니.. (영어는 정말 못한다) 원래 자리로 돌아온다라는 사전적의미를 갖고있지만 돌아가는건 항상 내 머리였다. 수학을 끝내서 더이상은 안볼줄 알았던 단어가 돌아오고 말았다. 아니 '재귀'라는 단어 자체도 너무 못생긴거아닌가..? 어떻게 이렇게 정이 안가는지 모르겠다. 또, 알고리즘 풀 때와 특정 함수를 정의할 때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잘 알아야한다. 나중엔 stack 파트에서 재귀 호출도 나온다.. 재귀함수 : 함수 내부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 특정 알고..

Method 파트의 끝이 보인다. 평소에 보던 리스트나 튜블과 다르게 특이한 방식으로 데이터가 들어가있다. 자주 쓰이는 친구는 아니지만, 알고 있어야만 쉽게 풀 수 있는 알고리즘 문제들도 있고, 실제로 api로 클론 코딩을 진행할 때 javascript 등을 까보면 dictionary 형식으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문제에서 중요도가 낮아도 현업에서는 중요도가 높다는 것을 느끼고 있다. 지금까지 나왔던 데이터들의 method를 모두 외우진 못했지만 문제를 풀다보면 외워지지 않을까 싶다. 딕셔너리 Method : 고유한 항목들의 정렬되지 않은 컬렉션이다. 이전 시간에 그림까지 열심히 그려가며 다루었기 때문에 혹시나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https://codinglarva.tistory.com/14에..

오늘은 비교적 쉬운 주제인 집합에 대한 메서드를 배워볼 예정이다. 이전 데이터타입을 공부하면서 어차피 뒤에 메서드 관련내용이 나올거라며 어떠한 것이 있는지 크게 다루지 않았는데, 의외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알아두면 좋다. 세트 Method : 가장 중요한 내용은 정렬이 되지 않은 비 시퀀스. 순서도 없고 정렬도 없고 중복도 없다. 수학에서도 집합이라는 요소에 겹치게 되면 사라지지 않는가? 그것을 생각하면 편할 것 같다. Method 설명 s.add(x) 세트에 데이터를 추가. 중복되는 데이터라면 변동 없음 s.clear() list와 같이 내부 데이터를 모두 없애는 메서드 s.remove(x) 데이터를 제거한다. 해당 데이터가 없다면 Key error 발생 s.discard(x) 데이터를 제거한다..

진도가 많이 밀리고 있기는한데.. 최대한 빨리 따라가야겠다 ㅠㅠ 5일치는 밀린 것 같다. 이제는 서로 공부하는지 지켜보기위해 구박사와 디스코드 화면공유와 캠을켜서 딴짓을 최대한 못하게 하려고 한다. 이전 시간은 문자열에대한 메서드를 알아봤으니 그외 다른 메서드들을 알아보려고 한다. 리스트 Method 문자열 메서드들처럼 가장 활용도가 많은 메서드 중 하나이다. 다만 리스트는 반환을 하는 항목, 변환되는 항목이 있으니 잘 구분해서 써야하며, 혹시나 잘 모르겠다면 출력을 해봤을 때 None이라는 문구가 보인다면 Return값을 확인해 보는 것이 좋은 방향인 것 같다. 리스트 탐색 / 정렬 Method 문법 설명 (반환값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을 확인) L.index(x, start, end) 항목들 중 가장 ..

이전까지는 알파벳과 단어들을 외웠다면 그들의 다양한 형태와 문법, 문장을 만들기위한 능동 수동 등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백준 알고리즘 브론즈에서 실버로 올라가기위한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 것들, 알고있으면 편한 것들에 대해 다뤄보겠다. Method (메서드) : 객체에 속한 함수. 객체의 상태를 조작하거나 동작을 수행한다고 보면 된다. 함수긴 한데, 일반적인 함수와는 다르게 객체에 속해있는 함수라고 풀어서 말할 수 있다. class(클래스) 내부에 정의되는 함수 class(클래스)는 '타입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해당 단원을 배우기 전에 이미 우린 사용해왔음 print(help(str))을 통해 str 클래스의 어떤 모델들이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 int, list 등등 모두 가능하다. 어..
- Total
- Today
- Yesterday
- Authentication System
- 함수
- 삼성청년SW아카데미
- Database
- SQLite
- ssafy
- dfs
- baby-gin
- vue
- Method
- 연산자
- ChatGPT
- SQL
- Django
- vue3
- HTML
- Python
- JavaScript
- views.py
- Sequence types
- 재귀
- 순열
- 카운팅정렬
- basic syntax
- app
- CodeTree
- 백준
- refactoring
- Component
- honeymone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